사계절 내내 우리 밥상에 오르는 무 그중에서도 가을무는 인삼보다 낫다라는 속담이 있다.
무의 효능
소화를 잘 시키면서 가래를 삭이고 갈증을 없애는 효과도 있고 관절을 이롭게 하고 오장을 단련시켜서 나쁜 기운을 몰아낸다고 기록하고 있다. 특히 가을무는 보약으로도 통했는데 기관지를 튼튼하게 해서 호흡기에도 도움이 되고 또 섬유질이 많아서 장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과도 있다.
무의 영양소를 섭취하는 방법
무에는 디아스타아제라는 탄수화물 분해 효소가 아주 많이 들어있다. 이 소화 효소를 가열하면 다 파괴되기 때문에 무는 될 수 있으면 생으로 먹는것이 건강에 좋다.
무를 천연 소화제라고 부르는 이유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디아스타아제를 비롯해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 지방 분해 효소인 리파아제까지 골고루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를 가열해 익혀 먹게 되면 이런 효소는 사라지게 된다고 한다.
가을 환절기에 무를 주스로 섭취하면 가을, 겨울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C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비타민C로 따지면 사과의 4배 정도 들어있는데 특히 가을, 겨울이 되면 면역력이 떨어지고 피부도 건조해지고 이런 계절에는 비타민C가 풍부한 식품이 피로를 개선하고 면역력을 높여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단점이라고 하면 잘 파괴된다는 것인데 자외선이나 열에 의해서 잘 파괴되기 때문에 무를 국이나 나물로 먹을 때는 무의 비타민을 섭취하게가 어렵다고 한다.
무를 가열하면 열에 약한 영양소들은 손실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무에 들어있는 식이섬유소는 가열해도 비교적 안전하며 조림을 했을 때 섬유 조직이 연해져서 소화에 부담을 느끼거나 위와 장이 약하신 분들이 조림 형태로 드시면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무 부분별 요리
무의 윗부분(푸른부분)
수분이 많고 단맛이 강해 생채, 샐러드에 많이 사용된다.
무 중간부분
조직이 단단해 뭇국이나 전골, 조림에 적합하다.
무 아랫부분
매운맛이 강해 볶아 먹는 무나물이 적합하다.
무 먹는 방법
동치미
썰어 놓은 무( 1/3)에 소금을 흩뿌리듯이 뿌려 2~3시간 절여준다.
절인 무 국물에는 무에 있는 비타민이 잘 녹아내린다. 때문에 이 절인 물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배를 썰지말고 배즙을 만들어 넣는다. 배즙을 넣으면 숙성이 더 빨리 되고 배의 단맛과 무의 시원한 맛이 조화를 이룬다.
동치미 물 비율은 동치미 절인 물 1컵, 배즙 1컵, 생수 5컵 넣어준다.
멸치액젓을 한큰술 넣어 진한 동치미 맛을 낸다.
쪽파, 고추 3개 , 생강 반개, 마늘 3개, 동치미 물을 무어주면 무의 영양 성분이 그대로 담긴 영양 만점 동치미가 완성된다.
실온에 하루 정도 보관 뒤 냉장보관한다.
동치미는 무의 윗부분을 사용해서 만든다.
무조림
무의단단한 아랫부분을 사용해서 만든다.
무는 3cm 두께로 4등분한다. 조림에 넣는 무는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주면 좋다. 무를 오래 끓이게 되면 모양이 부서질수가 있다. 하지만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주면 모양이 오래 유지된다.
다시마와 둥글게 깎고 남은 무를 넣어 육수를 끓여준다.
무의 비릿한 맛을 다시마와 청주로 잡는다.
무가 충분히 익은 후 양념을 넣는다. 무가 부드러워져 양념이 더 잘 배고 무의 단맛으로 채워져 짠맛은 덜 흡수하기 때문에 나트륨 섭취량도 줄일 수 있다.
고춧가루 2큰술, 간장 1큰술, 다진 마늘 1큰술을 넣고 약한 불로 조려준다.
표고버섯을 넣어준다. 표고버섯은 무의 부족한 단백질을 보충해주고 쫄깃한 식감이 부드러운 무와 조화를 잘 이룬다.
대파와 양파를 채 썰어 올리고 2~3분 더 끓여준다.
무 주스 만들기
무와 사과 물을 1 : 1 : 1 비율로 넣는다. (사과는 반 개, 무 2~3cm 두께로 썰어 준비하고 물은 종이컵의 2/3)
꿀이나 생강 조청 1티스푼 넣고 믹서로 잘 갈아준다.
무와 사과의 음식 궁합
무의 매운맛은 갈면 더 활성화가 되는데 이 매운맛을 사과의 단맛이 잡아줄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소, 비타민, 항산화 성분을 더 많이 섭취할 수 있어서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무의 비타민은 속살보다 껍질에 약 2.5배 많기 때문에 껍질째 조리한다.
무 주스 섭취 시 주의사항
무는 고이트로겐 식품의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인데 고이트로겐 식품이라는 것은 갑상선 기능을 억제하고 갑상선 비대증을 초래할 수 있는 식품을 말한다. 일반적인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만약 갑상선질환을 앓고 있다면 주의를 요하는 식품이다. 고이트로겐 성분은 가열을 하게 되면 그 기능을 소실하게 되어 가열을 해서 드시는 것이 좋다.
'음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증 (0) | 2017.03.03 |
---|---|
눈에 좋은 율무 (2) | 2017.03.02 |
염증에 좋은 게걸무 (0) | 2017.03.01 |
고혈압에 좋은 대파 (0) | 2017.03.01 |
대파의 효능 (0) | 2017.03.01 |